
업무의 속도 (혹은 즉각적인 '뭐라도 하는 시늉'의 중요도)가 커질수록 건강한 의사결정은 나오기 어려워 진다고 생각한다. 조직과 프로세스를 무시한 채, 예외처리 방식으로 진도를 나가 봤자, 결국 원론적이고 실무적인 결정의 순간이 찾아온다. 실무자는 무리한 보고용 일정계획과 목표를 영혼없이 바라보게 되고, 중간관리자는 엎질러진 거짓말을 결연한 의지 표명과 이슈 물타기 하면서 시간을 번다. 새로운 일, 도전적인 프로젝트를 새로 시작했는데 책임자에게 고민과 골칫거리가 없다면 뭔가 잘못된 거다. 이 프로젝트가 이렇게 일사천리로 잘 될리 없어! 라는 마음으로 바라봐야, 비로소 실무자와 불편한 고민거리를 모두 꺼내어 놓고 솔직하고 객관적으로 의사소통이 되는 것이다. 내가 몸 담고 있는 조직에 안타까움이 있어서 하는..
잡담x낙서x스냅
2021. 2. 18. 14:56